지식정보

2025 K-패스 대중 교통비 환급 방법, 이용방법, 절차

데브프로그라 2025. 2. 11. 20:14
반응형

2025년 K-패스 대중교통비 환급방법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이용 가능한 교통비 할인카드를 소개합니다.

■ K-패스란  

K-패스는 2024년 5월 1일부터 도입된 대중교통 이용 (교통비) 요금의 일부를 환급 제도로, 다자녀 가구, 저소득층, 청년층 및 일반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수록 혜택이 커지는 시스템으로, 환경 보호와 경제적 형평성을 동시에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K-패스  혜택

  •  
  • 지출한 교통비를 다음달에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전국 모든 대중교통 (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
    (단, 시외(고속)버스, KTX, SRT 등 별도 발권받아 탑승하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일반인은 20%, 청년층은 30%, 저소득층은 53%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연간 720회, 월간 60회 한도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첫 달에는 월 15회 이상 조건을 채우지 않아도 됩니다.

K-패스 효과

  • 교통비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  대중교통 활성화를 통한 탄소저감 등 친환경 효과가 있습니다.

 K-패스 신청방법

지원대상

  1. 만 19세 이상이며, K-패스 참여 지자체 거주해야 합니다.
  2. 전용 카드 발급 필수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이용방법

  1. K 패스 웹사이트(https://korea-pass.kr/) 또는 앱 접속하하여 회원가입.
  2. K-패스 카드 발급 및 등록 (기발급 알뜰교통카드 이용 가능)

 K-패스 환급받기

  • K-패스 카드로 대중교통 이용 (기존 교통카드처럼 사용하면 됩니다.)
  • 월별 자동환급 (청구할인, 계좌입금, 마일리지 적립 등)

 K-패스 회원가입 절차 안내

  1. 카드사에서 K-패스 카드 신청 및 수령
  2.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 (korea-pass.kr) 접속
  3. 회원가입 클릭
  4. 발급된 카드의 카드번호 15~16자리 입력 [유효성체크] 클릭
  5. 본인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 진행 (PASS앱 또는 문자인증)
  6. 주민등록번호(외국인등록번호) 입력 후 주소지 검증 실시
  7. 회원 정보 입력 후 가입 완료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K-패스 자주하는 질문

1. K패스는 신청 자격은?
(만 19세이상, 참여 지자체에 거주하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합니다.)

2. 다자녀 가구 인증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다자녀 정보" 메뉴를 통하여 인증합니다.)

3. 혜택의 최소한 조건은?
(월 15회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자동으로 환급혜택이 적용됩니다.)

4. 기초생황보장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환급방법은?
(증빙 서류를 제출하셔야 합니다.)

 

 

반응형

/* 코드복사 버튼 */ pre { position: relative; overflow: visible; } pre .copy-button { opacity: 0; position: absolute; right: 8px; top: 4px; padding: 6px 18px; color: rgb(255, 255, 255); background: rgba(255, 223, 0, 0.6); border-radius: 5px; transition: opacity .3s ease-in-out; } pre:hover .copy-button { opacity: 1; } pre .copy-button:hover { color: #eee; transition: all ease-in-out 0.3s; } pre .copy-button:active { color: #33f; transition: all ease-in-out 0.1s; } .copy-message:before { content: attr(copy-message); position: absolute; left: -95px; top: 0px; padding: 6px 18px; color: #fff; background: rgba(255, 223, 0, 0.6); border-radius: 5px; } /* 코드복사 버튼 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