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utoCAD 46

AutoCAD Ribbon 바, 리본바, 리본메뉴, RibbonClose, 연관명령들

리본을 표시합니다.리본은 일련의 탭으로 리본 탭과 패널로 구성되며, 이러한 탭은 도구막대에서 사용 가능한 여러 도구 및 컨트롤이 포함된 패널로 구성됩니다.패널은 부동패널과 슬라이드 아웃 패널, 상황별 리본탭으로 구성됩니다.목 차리본명령 Ribbon리본을 표시합니다.RibbonClose 명령리본을 숨깁니다.RibbonDockedHeight 명령수평으로 고정된 리본을 현재 탭의 높이에 맞출지 아니면 사전 설정된 높이에 맞출지 결정합니다. 유형: 정수 저장 위치: 레지스트리 초기값: 100 유효한 범위는 0에서 500까지입니다. 0으로 설정하는 경우, 리본은 항상 선택한 탭의 높이에 맞춰 자체적으로 크기를 조정합니다. 1에서 500 사이의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 리본은 항상 해당 픽셀 수만큼의 높이를..

AutoCAD 2025.07.15

AutoCAD LTSCALE, CELTSCALE 를 배워봅니다.

도면을 작성하다보면 라인타입을 다르게 하여 그려야할 때가 있습니다.Linetype은 선의 종류를 불러오거나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선 종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도면을 그리기전에 Linetype 명령을 이용하여 라인타입 종류를 변경하고 그려주면 해당 라인타입으로 선 또는 원 등이 그려집니다. Linetype - 선종류 관리자가 표시됩니다. (선종류를 로드하거나 설정하거나 수정합니다.)또한 설정한 선 종류의 축척을 이용하여, 도면을 작성할 수 있습니디.예를 들어, 선을 그릴때, 간격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그에 따른 명령은 LTSCALE, CELTSCALE 등을 이용하여 간격에 따라 축척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목 차1. LTSCALE (LTS)도면 전체의 전역 선종류 축척 ..

AutoCAD 2025.06.24

AutoCAD 캐드 원 (Circle) 그리기, 3P, 2P, TTR 옵션

AutoCAD 캐드를 이용하여 도면을 작성하려면, 기본적으로 그리기 명령, 수정 명령, 치수 명령, 출력 명령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물론 더 많은 명령을 이용하여 더 많은 기능들을, 즉 보조명령을 사용하면 더 좋겠죠. 오늘 부터는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명령 또는 기능 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명령, 원을 그리는 명령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원그리기 명령을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1. 명령 : Circle 원에 대한 중심점 지정 또는 [3점(3P)/2점(2P)/Ttr - 접선 접선 반지름(T)]: 원의 반지름 지정 또는 [지름(D)] :2. 단축키 : C3. 리본바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4. 메뉴바에서 > 그리기 > 원 원을 그리는 방법은 위의 4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원을 그릴 ..

AutoCAD 2025.06.24

AutoCAD 캐드 문자 정렬 기준점 변경 하기 - JU, JUSTIFYTEXT 명령

선택한 문자 객체의 위치는 변경하지 않고 자리맞추기 점을 변경합니다. 찾기 위에 표시된 자리맞추기 점 옵션은 하나하나씩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문자 객체의 자리맞추기 변경 JUSTIFYTEXT 를 사용하여 문자를 이동하지 않고 문자의 삽입점을 재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테이블 또는 일람표에는 알맞게 배치된 문자가 포함될 수 있지만 테이블의 각 문자 객체는 나중에 적용될 항목 또는 수정을 위해 왼쪽 자리맞추기 대신 오른쪽 자리맞추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목 차JUSTIFYTEXT - 자리 맞추기 점 (기준점, 시작점)을 변경문자를 작성할 때 자리 맞추기(기준점, 시작점)를 신경쓰지 않고 작성 후 변경하고자 할때 사용하면 좋은 명령어 입니다.단축키 명령어: JU전체 명령어 : ..

AutoCAD 2025.06.20

Attdef 정의와 속성블럭(Block) 만들기, Attdisp에 대해 알아봅시다.

Attdef와 Attdisp를 활용하기 위해 속성블록(Block)을 만들어 활용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목 차Attdef 정의예제는 품번기호로 속성블록(Block)을 만들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1. 원 (Circle)을 그립니다.2. 선 (Line)을 그립니다.3. Text는 Attdef명령을 이용하여 속성을 정의 합니다. 품번기호 작성할 때마다 번호가 달라져야 하고, 추후 변경이나 데이터를 정리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속성정의 (Command: Attdef)- 태그 (T) : Tag 구분 표시 입력합니다.- 프롬프트 (M) : 속성 값 프롬프트를 입력합니다.- 문자 설정 자리 맟춤 : 중간, 중간에 표시 (원의 중심에 맞춤) Attdef 블록 만..

AutoCAD 2025.06.15

AutoCAD Attdef 속성, Attribute 정의를 알아봅니다.

데이터를 블록에 저장하기 위한 속성 정의를 작성합니다. 찾기 속성 정의 대화상자가 표시됩니다. 속성이란 블록 정의와 함께 작성 및 포함되는 객체입니다.목 차속성 대화상자1. 모드 - 숨김 : 블록을 삽입할 때 속성 값이 표시되거나 인쇄되지 않도록 지정합니다. ATTDISP 명령은 숨김 모드를 재지정합니다.- 상수 : 블록을 삽입할 때 속성에 대한 고정 값을 속성에 지정합니다. 이 설정은 변경되지 않는 정보에 사용됩니다. - 검증 : 블록을 삽입할 때 속성 값이 정확한지 검증할 수 있도록 프롬프트를 표시합니다.- 사전설정 : 록을 삽입할 때 프롬프트를 표시하지 않고 속성을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사전 설정 옵션은 명령 프롬프트에서 속성 값에 대한 프롬프트가 표시되도록 설정된 경우에만 적용됩니다(ATTDI..

AutoCAD 2025.06.02

오토캐드 템플릿(Template)란? 편리성, 활용도, 도면표준화, 사용방법

오토캐드(AutoCAD)를 사용하다보면 템플릿(Template)이란 것이 있습니다.새로운 도면의 설정환경을 보다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쉽게 이야기하면, 우리 회사만의 도면환경 표준화(레이어, 단위, 문자스타일 등)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또한, 여러 작업자가 도면 작업을 하여도 통일된 표준화된 최적화 도면을 만들 수 있습니다.목  차템플릿이란오토캐드 템플릿(Template)은 .dwt 형식의 도면 서식파일로 자주 사용하는 기본 설정값들을 저장해둔 파일입니다.즉, 새 도면을 만들 때마다 매번 레이어, 선 종류, 치수 스타일 등을 설정하지 않아도 미리 세팅된 도면을 바로 시작할 수 있게 해주는 파일입니다.✔️ 포함되는 요소 예시:레이어 구조 및 색상 (Layer)선 종류 (실..

AutoCAD 2025.04.04

오토캐드 OSnap 객체 스냅

오토캐드 OSnap은 객체 스냅으로 Object Snap을 의미하며, 객체의 특정 위치 지점을 잡아주는 기능입니다.오토캐드 화면은 단지 데이터를 보여주는 가상화면이므로 마우스로 직접 특정점을 잡기는 불가능합니다.그러므로 정확한 끝점과 끝점을 연결하려면, OSnap을 이용하여 잡아주면 정확한 위치를 잡아주며, Zoom, Pan 등의 명령으로 화면뷰를 다르게 하더라도 정확한 위치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목  차OSnap 기능키 F3 / 단축키 (Os / Ds)오토캐드 OSnap을 On / Off 의 기능키는 F3이고, 명령어 Osnap이며, 단축키는 Os / Ds 입니다.Osnap에서 정점을 지정할 때, Shift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OSnap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

AutoCAD 2025.03.30

오토캐드 기능키 (F1 ~ F12) 알아보기

오토캐드 기능키(Function Key)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키보드의 기능키를 활용하여 많이 사용하는 기능들을 단축키로 사용하고 있습니다.F1 ~ F12 키는 미리 정의된 단축키를 활용하여, 캐드 작업에 빠른 속도로 설정을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기능키명령설명F1Help오토캐드의 도움말을 표시F2Text Window명령 윈도우 (사용 내역 확장 윈도우)F3Osnap객체 스냅 켜기 / 끄기F43D Osnap3D용 추가 객체 스냅 켜기 / 끄기F5Isoplane등각투영 (3D처럼 보이는 2D 도면) 켜기 / 끄기F6Dynamic UCS동적 UCS 켜기 / 끄기F7Grid그리드 켜기 / 끄기F8Ortho직교 모드 켜기 / 끄기F9Snap스냅 켜기 / 끄기 (스냅 간격으로 이동)F10Polar극좌표 추..

AutoCAD 2025.03.28

[AutoCAD] 오토캐드 2025 새로운 기능, 업데이트 소개

AutoCAD 2025 릴리즈의 새로운 기능 및 주요 개선사항에 대해 소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새로운 기능에 대한 사용방법은 추후 게시물로 추가하여 제공할 예정입니다.앞으로 2025 새로운 기능에 대해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목  차활동정보팔레트에 새로 고침 버튼과 향상된 검색 기능이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이제 외부 참조가 팔레트에 링크되고 공유 활동도 팔레트에 나타납니다. 활동 유형, 사용자 및 날짜별로 활동을 기록하여 도면 사용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AutoCAD 2024에서 처음 도입된 활동 정보는 이제 더 많은 유형의 활동을 기록하고 새로운 활동 특성 패널에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또한 파일을 열지 않고도 도면의 활동을 볼 수 있습니다. 시작 탭에서 최근 항목을 클릭하고 도면을 선택합니다..

AutoCAD 2025.03.27

오토캐드 문자열 찾기, 바꾸기, 위치 - 유틸기능 다운로드

오토캐드 문자열 찾기 , 바꾸기 및 전체 바꾸기, 위치 확인, 문자 삭제 기능특정 문자열을 쉽게 찾고, 도면의 모든 문자열의 목록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문자의 위치, 문자 삭제, 문자열 바꾸기 및 전체 바꾸기로 도면내에서 문자열을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명령 : FT목  차문자열 찾기 기능문자열 찾기 기능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설명 :1. 선택 : 찾는 문자를 도면상에서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2. 찾기 : 찾는 문자와 같은 문자를 찾습니다.3. 대소문자 구분 : 대문자 및 소문자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예시 : Sample, SAMPLE)    정확한 문자 일치일 경우만 : 문자가 일치할 경우에만 찾아줍니다.       ( Sam을 찾으면, Sample 및 sam 모두 찾지만, 체크하..

AutoCAD 2025.03.24

오토캐드 문자 스타일 일괄 변경하기 - 유틸리티 기능 다운로드

오토캐드를 사용하다 보면 기본 명령들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하지만 기능이 여러단계 이거나 복잡하면 어려움이 아무래도 있겠지요.그래서, 오토캐드에서 선택한 문자들의 스타일 (Style)을 바꿔주는 유틸 기능을 만들어 보았습니다.문자 (다중문자)들 만 선택하여 문자 스타일을 한번에 일괄 바꿔주는 기능입니다.명령 : CTS 목  차문자스타일 변경 (CTS)오토캐드에서 선택한 문자(다중문자)들을 한번에 일괄 문자스타일을 변경해 줍니다.문자(다중문자)들을 선택해서 하나하나 바꿔줄 번거러움 없으 한번에 해결!설명 :1. 문자 선택 : 문자와 다중문자를 선택합니다.2. 문자 스타일 선택 : 현재 도면에 정의된 문자스타일을 확인하고, 변경할 문자스타일을 선택합니다.3. 선택한 문자 (다중문자) 목록 : 문자(..

AutoCAD 2025.03.24
반응형

/* 코드복사 버튼 */ pre { position: relative; overflow: visible; } pre .copy-button { opacity: 0; position: absolute; right: 8px; top: 4px; padding: 6px 18px; color: rgb(255, 255, 255); background: rgba(255, 223, 0, 0.6); border-radius: 5px; transition: opacity .3s ease-in-out; } pre:hover .copy-button { opacity: 1; } pre .copy-button:hover { color: #eee; transition: all ease-in-out 0.3s; } pre .copy-button:active { color: #33f; transition: all ease-in-out 0.1s; } .copy-message:before { content: attr(copy-message); position: absolute; left: -95px; top: 0px; padding: 6px 18px; color: #fff; background: rgba(255, 223, 0, 0.6); border-radius: 5px; } /* 코드복사 버튼 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