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CAD

오토캐드 OSnap 객체 스냅

데브프로그라 2025. 3. 30. 23:04
반응형

오토캐드 OSnap은 객체 스냅으로 Object Snap을 의미하며, 객체의 특정 위치 지점을 잡아주는 기능입니다.
오토캐드 화면은 단지 데이터를 보여주는 가상화면이므로 마우스로 직접 특정점을 잡기는 불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정확한 끝점과 끝점을 연결하려면, OSnap을 이용하여 잡아주면 정확한 위치를 잡아주며, Zoom, Pan 등의 명령으로 화면뷰를 다르게 하더라도 정확한 위치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OSnap 설정 화면)

목  차

    OSnap 기능키 F3 / 단축키 (Os / Ds)

    오토캐드 OSnap을 On / Off 의 기능키는 F3이고, 명령어 Osnap이며, 단축키는 Os / Ds 입니다.

    (Osnap On / Off 상태바의 활성화, 비활성화 된 모습)

    Osnap에서 정점을 지정할 때, Shift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OSnap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번씩 사용할 떄는 편리하며, 지속적으로 사용하려면 Osnap 옵션에서 선택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OSnap (객체 스냅의 종류와 설명)

    객체 스냅의 종류와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Osnap 모드 설 명
    끝점(E) 선, 호, 폴리선 등의 객체의 끝점
    중간점(M) 선, 호, 폴리선 등의 객체의 중간점 (끝점과 끝점의 중간 지점)
    중심(C) 원, 호 등의 객체의 중심점
    기하학적 중심(G) 도형의 무게 중심점 (삼각형의 중심, 사각형의 중심 등)
    노드(D) 점(Point)으로 표시된 위치
    사분점(Q) 원, 호 등의 사분점 (0, 90, 180, 270도의 정점)
    교차점(I) 선과 선, 선과 원등이 교차되는 교차점
    연장선(X) 선, 호, 폴리선 등의 각 진행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점
    삽입(S) 블록 및 Xref, 문자 등의 삽입점
    직교(P) 선, 폴리선과 현재 내위치와 90도 직교인 위치점
    접점(N) 원, 호 등에 접하는 정점 (Tangent)
    근처점(R) 도형 선상의 위치 
    가상 교차점(A) 선과 선의 가상의 교차점 (교차는 되지 않으나, 선의 연장되면 만날 교차점)
    평행(L) 평행선 잡기 (기준이 되는 선과 평행하는 정점)

     

    연관 게시물

    [AutoCAD] - 오토캐드 기능키 (F1 ~ F12) 알아보기

     

    오토캐드 기능키 (F1 ~ F12) 알아보기

    오토캐드 기능키(Function Key)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키보드의 기능키를 활용하여 많이 사용하는 기능들을 단축키로 사용하고 있습니다.F1 ~ F12 키는 미리 정의된 단축키를 활용하여, 캐드

    devprogra.tistory.com

     

     

    반응형

    /* 코드복사 버튼 */ pre { position: relative; overflow: visible; } pre .copy-button { opacity: 0; position: absolute; right: 8px; top: 4px; padding: 6px 18px; color: rgb(255, 255, 255); background: rgba(255, 223, 0, 0.6); border-radius: 5px; transition: opacity .3s ease-in-out; } pre:hover .copy-button { opacity: 1; } pre .copy-button:hover { color: #eee; transition: all ease-in-out 0.3s; } pre .copy-button:active { color: #33f; transition: all ease-in-out 0.1s; } .copy-message:before { content: attr(copy-message); position: absolute; left: -95px; top: 0px; padding: 6px 18px; color: #fff; background: rgba(255, 223, 0, 0.6); border-radius: 5px; } /* 코드복사 버튼 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