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01

[C#]C# Dictionary <TKey,TValue> 클래스 배열 데이터 사용법

[C#]C# Dictionary  클래스 배열 데이터 사용법● Dictionary 키와 값의 컬렉션을 나타냅니다. 네임스페이스: System.Collections.Generic 어셈블리: Systehttp://m.Collections.dllTKey - 사전에 있는 키의 형식입니다. TValue - 사전에 있는 값의 형식입니다. 가. Add - 지정한 키와 값을 추가한다. Dictionary dicList = new Dictionary(); dicList.Add(1, "빨강"); dicList.Add(2, "노랑"); dicList.Add(3, "녹색"); dicList.Add(4, "파랑"); 나. KeyValuePair - 키/값 조회 확인한다. foreach(KeyValuePair each in di..

C# 2024.04.16

[AutoCAD C#]오토캐드에서 선택한 객체 정보를 보여준다.

AutoCAD에서 객체에 따라 다양하게 유틸리티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객체를 선택하여 객체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죠.아래의 코드는 실 사용할 수는 없지만, 어떤 식으로 개발이 되는 지 확인이 가능합니다.물론, 개발자마다 사용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CommandMethod(" ENTINFO ", CommandFlags.Modal | CommandFlags.Session)]         public void ENTINFO()         {             var ed = AcadApp.DocumentManager.MdiActiveDocument.Editor;             var doc = AcadApp.DocumentManager.M..

AutoCAD C# 2024.02.28

[AutoCAD C#]오토캐드에서 블럭(Block)들을 수량과 레이어(Layer) 구분하여 출력하기

AutoCAD에서 Block관리가 중요합니다.때론 BOM 물량산출을 하고, Block들을 전체 변환하기도 합니다.아래의 코드는 Block들을 선택하여 수량과 레이어를 정리하여 출력하는 코드입니다.AutoCAD에서 이 코드를 사용하려면 다음 단계로 실행해 보세요.1. Visual Studio에서 C# 프로젝트를 만듭니다.    참조에 accoremgd.dll, acdbmgd.dll, AcDbMgd.dll, AcMgd.dll을 추가합니다.2. 아래의 코드를 복사하여 프로젝트에 붙여넣습니다.     빌드하여 .dll 파일을 생성합니다.3. AutoCAD에서 NETLOAD 명령을 실행하여 .dll 파일을 로드합니다.4. listBlock 명령을 실행합니다.5. AutoCAD에서 Block의 출력형식 확인합니다...

AutoCAD C# 2024.02.27

[건강]건강보험 환급금 찾기, 조회, 지급신청방법 안내!

건강보험 환급금 찾기, 조회, 지급신청방법 안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이미 지출된 보험료를 건강보험가입자에게 환급해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납부한 보험료가 이중으로 납부했거나 과다하게 납부한 국민건강보험 본인부담금환급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인부담금환급금을 신청을 하지 않으면 지급신청서를 받은 일로부터 3년 후 환급금이 사라집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모바일 어플을 통해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부담금환급금 신청하고, 7일 이내에 환급금이 정산됩니다. ● 본인부담금환급금이란?병원에서 진료를 한 후 납부영수한 건강보험 본인부담금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심사한 후 과다하게 지출되었음이 확인 되었거나, 보건복지부에서 병원을 조사한 후 보인부담금을 과다하게 납부하였음이 확인된 경우..

지식정보 2024.02.26

[AutoCAD C#]AutoCAD에서 두 선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C# 코드

AutoCAD에서 두 선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C#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두 선이 서로의 끝점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연결되어 있다면 true를 반환합니다.2개의 Line (선)을 선택하여 판단하게 합니다.이전 코드와 다른 점은 2개를 선택하여 연결처리를 확인합니다.두 코드를 비교하면 쉽게 차이를 알 수 있으며, 더 쉽게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AutoCAD에서 이 코드를 사용하려면 다음 단계로 실행해 보세요.1. Visual Studio에서 새 C# 프로젝트를 만듭니다.    참조에 accoremgd.dll, acdbmgd.dll, AcDbMgd.dll, AcMgd.dll을 추가합니다.2. 아래의 코드를 복사하여 프로젝트에 붙여넣습니다.     빌드하여 .dll 파일을 생성합니다.3. Au..

AutoCAD C# 2024.02.26

[AutoCAD C#]AutoCAD에서 선택한 선에 연결된 선(Line) 찾기

AutoCAD내에 프로그램을 개발하다보면, 선과 선의 연결과 연결 된 선들을 찾을 때가 있습니다.선택한 Line(선)을 기준으로 앞뒤로 연결된 선을 찾는 기능입니다.AutoCAD에서 이 코드를 사용하려면 다음 단계로 실행해 보세요.1. Visual Studio에서 새 C# 프로젝트를 만듭니다.    참조에 accoremgd.dll, acdbmgd.dll, AcDbMgd.dll, AcMgd.dll을 추가합니다.2. 아래의 코드를 복사하여 프로젝트에 붙여넣습니다.     빌드하여 .dll 파일을 생성합니다.3. AutoCAD에서 NETLOAD 명령을 실행하여 .dll 파일을 로드합니다.4. CAL 명령을 실행합니다.5. AutoCAD에서 원하는 선을 선택하면 연결된 선을 노란색으로 변경해 줍니다.using ..

AutoCAD C# 2024.02.26

[C#]String 문자열 함수 Format()

● string Format (IFormatProvider? provider, string format, object? arg0, object? arg1, object? arg2)지정된 형식에 따라 개체의 값을 문자열로 변환하여 다른 문자열에 삽입 합니다.Format은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법도 다양합니다.Format의 간단한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msdn을 통해 형식, 사용법 등을 알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Sampleusing System;namespace test{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1 = "C#";       ..

C# 2024.02.25

[AutoCAD C#]오토캐드에서 블럭(Block)을 선택, 레이어 변경하기

AutoCAD에서 블럭(Block)들을 선택하여, 블럭의 레이어(Layer)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Visual Studio와 AutoCAD .Net Wizard가 설치되어 있으시면 프로젝트 생성 후 새로운 클래스를 만들어 작성해 주시면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코드는 ChBlkLayer 라는 명령어를 정의하고, 레이어를 "PIPE"로 변경합니다. 만약 " PIPE "라는 이름의 레이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 생성합니다. AutoCAD에서 이 코드를 사용하려면 다음 단계로 실행해 보세요.1. Visual Studio에서 새 C# 프로젝트를 만듭니다.    참조에 accoremgd.dll, acdbmgd.dll, AcDbMgd.dll, AcMgd.dll을 추가합니다.2. 아래의 코드를 복사하여 프로..

AutoCAD C# 2024.02.25

[C#]C#코드를 이용하여 운영체제와 컴퓨터 정보 확인

1. 아래의 코드는 C#을 사용하여 현재 실행 중인 운영 체제와 컴퓨터의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아래의 코드를 복사하여 실행합니다.using System; using System.Management;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운영체제 정보 가져오기        OperatingSystem os = Environment.OSVersion;         Console.WriteLine("Operating system: {0}", os);         // 컴퓨터 정보 가져오기        ManagementObjectSearcher searcher ..

C# 2024.02.24

[AutoCAD C#]오토캐드에서 객체를 선택하여 Color, Layer 변경하기

AutoCAD에서 객체(Object)를 선택하여, 색상(Color), 레이어(Layer)를 변경하는 소스입니다.Visual Studio와 AutoCAD .Net Wizard가 설치되어 있으시면 프로젝트(Project) 생성 후 새로운 Class를 만들어 작성해 주시면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코드는 CHCL 라는 명령어를 정의하고, 선택한 객체들의 색상을 노란색로 변경하고, 레이어를 "PIPE"로 변경합니다. 만약 " PIPE "라는 이름의 레이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 생성합니다. AutoCAD에서 이 코드를 사용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십시오. 1. Visual Studio에서 새 C# 프로젝트를 만듭니다.     참조에 accoremgd.dll, acdbmgd.dll, AcDbMgd.dll,..

AutoCAD C# 2024.02.24

[AutoCAD]AutoLisp 강좌 예제 - AutoCAD DXF 객체정보 확인하기

AutoCAD의 모든 객체는 DXF 정보를 가지고 있다.AutoLisp으로 객체의 DXF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 방벙은명령: (entget(car(entsel "메시지 입력")))  이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그렇다면, Line, Arc, Circle, Text, Polyline 등의 DXF 정보를 확인해 본다. AutoCAD Command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여 각 객체들을 선택한다.명령: (entget(car(entsel "객체선택:"))) 폴리선 (Polyline 선택)객체선택:((-1 . ) (0 . "LWPOLYLINE") (330 . ) (5 . "2D2") (100 . "AcDbEntity") (67 . 0) (410 . "Model") (8 . "0") (62 . 2) (100 . "AcD..

AutoLisp 2024.02.23

[AutoCAD]오토캐드 AutoLisp 강좌 예제 - AutoLisp으로 단축키를 만들기

*단축키를 함 만들어 보기단축키를 설정하는 파일은 Acad.PGP파일로 설정을 하는데..파일의 위치는 Support폴더에 있으며,AutoCAD 2024에서는 컴퓨터 로그인이름아래에C:\Users\사용자\AppData\Roaming\Autodesk\AutoCAD 2024\R24.3\kor\Support\acad.pgp가 존재한다.이것은 로그인하는 사람에 따라서 각종 정보를 달리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설정보조기능이다. PGP파일로 단축키를 설정하며, AutoLisp으로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명령어 이름을 입력하여 사용한다.다만, 간단하게 연습할 수 있어 사용해봅니다. 1. Line 명령의 단축키아래의 글을 Notepad.exe 나 기타 텍스트에디터로 하나 만들어서원하는 이름으로 저장하고 (예:test1.ls..

AutoLisp 2024.02.23
반응형

/* 코드복사 버튼 */ pre { position: relative; overflow: visible; } pre .copy-button { opacity: 0; position: absolute; right: 8px; top: 4px; padding: 6px 18px; color: rgb(255, 255, 255); background: rgba(255, 223, 0, 0.6); border-radius: 5px; transition: opacity .3s ease-in-out; } pre:hover .copy-button { opacity: 1; } pre .copy-button:hover { color: #eee; transition: all ease-in-out 0.3s; } pre .copy-button:active { color: #33f; transition: all ease-in-out 0.1s; } .copy-message:before { content: attr(copy-message); position: absolute; left: -95px; top: 0px; padding: 6px 18px; color: #fff; background: rgba(255, 223, 0, 0.6); border-radius: 5px; } /* 코드복사 버튼 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