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87

2025 K-패스 대중 교통비 환급 방법, 이용방법, 절차

2025년 K-패스 대중교통비 환급방법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이용 가능한 교통비 할인카드를 소개합니다.■ K-패스란  K-패스는 2024년 5월 1일부터 도입된 대중교통 이용 (교통비) 요금의 일부를 환급 제도로, 다자녀 가구, 저소득층, 청년층 및 일반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혜택을 제공합니다.대중교통을 이용할수록 혜택이 커지는 시스템으로, 환경 보호와 경제적 형평성을 동시에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K-패스  혜택 지출한 교통비를 다음달에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전국 모든 대중교통 (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단, 시외(고속)버스, KTX, SRT 등 별도 발권받아 탑승하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습니다.)일반인은 20%, 청년층은 30%, 저소득층은..

지식정보 2025.02.11

AutoCAD 레이어 (Layer) 명령 - 설명 1

AutoCAD 레이어(Layer) 명령 - LAYCUR,LAYMCUR, LAYOFF, LAYON, LAYFRZ, LAYTHW, LAYLCK, LAYULK, LAYWALK 설명합니다.■ LAYCUR - 선택한 객체(들)의 도면층을 현재 도면층으로 변경합니다. 찾기 잘못된 도면층에서 작성된 객체가 발견되면 신속하게 현재 도면층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LAYMCUR -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현재 도면층)으로 설정합니다. 찾기 특정 도면층의 객체를 선택하여 현재 도면층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LAYOFF -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끕니다. 찾기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끄면 해당 객체가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 명령은 도면 작업 중 장애 없는 뷰가 필요하거나 참조선 등의 세부 사항을 플롯하지 않으려는 ..

AutoCAD 2025.02.05

AutoLisp 강좌 예제- AutoCAD에서 선택한 객체 Layer로 현재(Current) 레이어로 변경하기

오토캐드(AutoCAD)에서 AutoLISP을 사용하여 선택한 객체의 레이어로현재 레이어 변경하기. 아래는 해당 기능을 구현한 AutoLISP 코드입니다. 명령어  (c:ChangeLayerToSelectedObjectLayer)는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하여 작성합니다.(defun c:ChangeLayerToSelectedObjectLayer ()   (setq selObj (car (entsel "\n객체를 선택하세요: ")))  ; 객체 선택   (if selObj     (progn       (setq objData (entget selObj))  ; 선택된 객체의 데이터를 가져옴       (setq objLayer (cdr (assoc 8 objData)))  ; 객체의 레이어 이름을 추출   ..

AutoLisp 2025.02.01

2025년부터 변경되는 복지정책 (출산관련, 양육관련 지원)

▣ 맞벌이 가구 근로장려금 확대저소득 맞벌이 가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맞벌이 가구의 근로장려금 소득 상한액이 3,800만 원에서 4,400만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는 저소득층의 경제적 안정을 위한 정부의 노력의 일환입니다.▣ 혼인신고 시 세액공제 혜택2024년 1월 1일부터 혼인신고를 하는 부부에게는 세액 공제 혜택이 제공됩니다. 혼인신고를 한 부부는 각각 50만 원씩의 세액을 공제받으며, 이 혜택은 초혼 및 재혼에 관계없이 생애 한 번만 적용됩니다. 혼인세액공제는 2026년 12월 31일까지 유효합니다.▣ 출산지원금 비과세 전환2025년부터 기업이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출산지원금은 전액 비과세로 전환됩니다. 단, 출산 후 2년 이내에 지급된 금액에 한해서 적용됩니다. 이는 근로자의 출..

지식정보 2025.01.30

2025년부터 변경되는 복지정책 (금융 / 경제 )

▣ 모바일 주민등록증 도입2025년 3월부터 만 17세 이상의 국민은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지며,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어, 행정절차나 신원 인증이 간편해질 것입니다.▣ 문화비 소득공제 확대2025년 7월부터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이 확대되어 헬스장과 수영장 이용료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의 근로소득자는 이러한 시설 이용료의 30%를 최대 300만 원까지 소득공제 받을 수 있어, 건강과 여가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됩니다.▣ 최저임금 인상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으로 인상되며, 주 40시간 근로 시 월 급여는 2,096,270원이 됩..

지식정보 2025.01.30

오토캐드 AutoLisp 강좌 예제 - 객체에서 레이어(Layer)명을 가져온다.

AutoCAD에서 AutoLISP를 사용하여 객체의 레이어를 가져오는 예제를 설명합니다. 다음은 코드 예제와 설명을 작성하였습니다. 코드 예제:(defun c:GetLayer ( / ent layer)   ; 사용자에게 객체 선택을 요청합니다.   (setq ent (car (entsel "\n객체를 선택하세요: ")))   ; 객체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합니다.   (if ent     (progn       ; 선택한 객체의 레이어를 가져옵니다.       (setq layer (cdr (assoc 8 (entget ent))))       ; 레이어를 출력합니다.       (princ (strcat "\n선택한 객체의 레이어: " layer))     )     ; 객체가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메시지..

AutoLisp 2025.01.26

[AutoCAD C#]폴리선의 좌표를 표시한다.

AutoCAD에서 폴리선들을 선택하고 해당 폴리선의 꼭지점들의 XY 좌표를 보여주는 C#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이 코드는 AutoCAD .NET API를 사용하며, AutoCAD 플러그인 형태로 실행될 수 있습니다.using Autodesk.AutoCAD.ApplicationServices; using Autodesk.AutoCAD.DatabaseServices; using Autodesk.AutoCAD.EditorInput; using Autodesk.AutoCAD.Geometry; using Autodesk.AutoCAD.Runtime; using System; namespace PolylineCoordinates {     public class Commands     {         [Co..

AutoCAD C# 2024.12.21

[AutoCAD C#]AutoCAD Palette 배경색상 설정

AutoCAD의 특성 팔레트와 같은 배경색의 팔레트를 C#으로 구현하려면, AutoCAD의 특성 팔레트와 동일한 색상을 가져와서 PaletteSet에 적용해야 합니다. AutoCAD는 내부적으로 특정 색상 테마를 사용하기 때문에, 특성 팔레트의 배경색을 직접 가져오는 API는 제공되지 않지만, AutoCAD의 다크 및 라이트 테마에 따라 팔레트 배경색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다음은 AutoCAD 테마에 맞게 팔레트 배경 색상을 설정하는 예제 코드입니다.using System; using System.Drawing; using Systehttp://m.Windows.Forms;using Autodesk.AutoCAD.ApplicationServices; using Autodesk.AutoCAD.Runtime..

AutoCAD C# 2024.11.09

[C#] 윈도우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 확인하기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을 확인하려면 C#에서 Registry 클래스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리의 Uninstall 키에서 설치된 프로그램 정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 코드는 HKEY_LOCAL_MACHINE과 HKEY_CURRENT_USER에서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을 검색합니다.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Microsoft.Win32;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     {         foreach (var program in GetInstalledPrograms())         {             Console.WriteLine($"Name: {program.Name}, Ver..

C# 2024.11.01

[AutoCAD C#]AutoCAD에서 C# 코드를 이용하여 선택한 블록들의 위치 출력

AutoCAD에서 선택한 블록들의 위치를 C#으로 구현하려면 AutoCAD .NET API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API를 통해 AutoCAD 객체를 조작하고 정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AutoCAD에서 선택된 블록들의 위치를 추출하는 예제입니다.using Autodesk.AutoCAD.Runtime; using Autodesk.AutoCAD.ApplicationServices; using Autodesk.AutoCAD.DatabaseServices; using Autodesk.AutoCAD.EditorInput; using Autodesk.AutoCAD.Geometry; public class BlockLocation {     [CommandMethod("GetBlockPositions")]..

AutoCAD C# 2024.10.09

[AutoLisp]오토캐드 AutoLisp 강좌 예제 - 선택한 블럭(Block)들의 위치를 출력하기

AutoLISP를 사용하여 선택한 블록의 위치 출력합니다.AutoCAD에서 AutoLISP 실행:명령줄에서 VLISP를 입력하여 Visual LISP 편집기를 열어 아래의 코드를 작성합니다.LISP 코드 작성: 아래의 코드는 선택한 블록의 위치를 가져와 출력하는 간단한 예입니다.코드(defun C:GetBlockPosition ( / selSet blkName blkHandle blkEnt blkInsertPt) ;; 선택한 블록 집합 만들기 (setq selSet (ssget "_I" '((0 . "INSERT")))) ;; INSERT는 블록을 의미 (if selSet (progn ;; 선택한 블록 정보 가져오기 (setq blkEnt (ssname selSet 0)) ;; 선택된 첫 번째 블록 가져..

AutoLisp 2024.10.09

[C#]OpenFileDialog 활용하기

C#을 사용하여 파일을 선택하거나 불러오는 기능을 구현하기.OpenFileDialog의 기본 사용법과 주요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일 대화 상자 객체 생성 OpenFileDialog openFileDialog = new OpenFileDialog();      // 파일 확장자 지정, png 이미지 파일만 선택하도록 설정 openFileDialog.Filter = "이미지 파일|*.png";  //FilterIndex - 대화상자에서 기본으로 선택될 파일 유형의 인덱스 설정openFileDialog.FilterIndex = 1;//InitialDirectory - 처음 표시될 디렉토리를 설정.openFileDialog.InitialDirectory = "*.*";//RestoreDirector..

C# 2024.09.12
반응형

/* 코드복사 버튼 */ pre { position: relative; overflow: visible; } pre .copy-button { opacity: 0; position: absolute; right: 8px; top: 4px; padding: 6px 18px; color: rgb(255, 255, 255); background: rgba(255, 223, 0, 0.6); border-radius: 5px; transition: opacity .3s ease-in-out; } pre:hover .copy-button { opacity: 1; } pre .copy-button:hover { color: #eee; transition: all ease-in-out 0.3s; } pre .copy-button:active { color: #33f; transition: all ease-in-out 0.1s; } .copy-message:before { content: attr(copy-message); position: absolute; left: -95px; top: 0px; padding: 6px 18px; color: #fff; background: rgba(255, 223, 0, 0.6); border-radius: 5px; } /* 코드복사 버튼 END */